자오지 여객전용선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자오지 여객전용선은 2007년 1월 8일 건설이 시작되어 2008년 12월 21일 전 구간이 개통된 중국 산둥성의 여객 전용선이다. 초기에는 최고 속도 120km/h로 운행되었으며, 이후 속도 향상을 통해 2009년에는 최대 250km/h까지 속도가 증가하였다. 주요 역으로는 지난, 칭다오 등이 있으며, 2018년 8월 8일 웨이팡-창이 구간에서 설비 고장으로 열차 운행이 중단된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2008년 개통한 철도 노선 - 베이징 지하철 8호선
베이징 지하철 8호선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위해 건설되어 총 길이 49.5km에 35개 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, 주요 관광지를 연결하고 여러 노선과의 환승을 통해 베이징 시내 주요 지역을 잇는 중요한 교통 수단이다. - 2008년 개통한 철도 노선 - 게이한 본선
게이한 본선은 요도야바시역에서 산조역까지 49.3km를 잇는 게이한 전기철도의 간선 노선으로, 오사카와 교토를 연결하며, 40개의 역과 1개의 신호장을 갖추고 있고, 덴마바시역과 네야가와 신호장 사이는 복복선으로 운행된다. - 산둥성의 교통 - 산둥 항공
산둥 항공은 1994년에 설립되어 여객 운송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항공사이며, 지난 야오창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하여 운항을 시작했고, 130여 대의 항공기를 운용하며 중국, 캄보디아, 인도네시아, 일본, 싱가포르, 대한민국, 대만, 태국 등 국제선 노선을 운항한다. - 산둥성의 교통 - 징후 철로
징후선은 베이징과 상하이를 잇는 복선 전철화된 주요 철도 노선으로, 1968년 난징 창장 대교 개통으로 전 구간이 연결되었으며, 현재는 화물 운송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. -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철도 노선 - 징후 고속철도
징후 고속철도는 베이징과 상하이를 잇는 총 길이 1,318km의 중국 주요 고속철도 노선으로, 2011년 개통 이후 중국 경제 발전에 기여하며 잦은 고장과 안전 문제에도 불구하고 수송량이 증가하고 있다. -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철도 노선 - 징하 고속철도
징하 고속철도는 베이징과 하얼빈을 잇는 약 1,700km 길이의 고속철도 노선으로, 중국 동북부 고속철도 회랑의 일부이며 2021년 1월에 개통된 중국의 "사종사횡" 고속철도 네트워크 계획 중 하나이다.
자오지 여객전용선 - [철도 노선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지도 정보 | |
기본 정보 | |
이름 | 칭다오-지난 여객 철도 |
다른 이름 | 자오지 여객 철도 |
로마자 표기 | Jiao-Ji Keyun Zhuan Xian |
노선 길이 | 칭다오—지난: 362.5 km |
유형 | 고속철도 |
시스템 | 중국 철도 고속 |
역 수 | 14 |
소재 지역 | 산둥 성: 칭다오, 웨이팡, 쯔보, 지난 |
운영자 | CR 지난 |
소유자 | CR 지난 |
최고 속도 | 250 km/h (최대) |
선로 수 | 2 (복선) |
전철화 | (가공 전차선) |
노선 정보 | |
기점 | 칭다오 역 |
종점 | 지난 역 |
개통일 | 2008년 7월 20일 |
기술 정보 | |
궤간 | 1,435 mm (표준궤) |
선로 수 | 복선 |
전철화 방식 | AC25kV |
영업 최고 속도 | 200 km/h |
역 목록 | |
역 | 칭다오 |
거리 | 0 km |
역 | 칭다오 북 |
거리 | 15.4 km |
비고 | ←칭룽 도시 간 철도 |
비고 | 자오지선→ |
역 | 자오저우 북 |
거리 | 63 km |
역 | 가오미 |
거리 | 88.8 km |
비고 | 자오지선→ |
역 | 샤산 |
거리 | 115.9 km |
역 | 웨이팡 |
거리 | 161.4 km |
비고 | 자오지선→ |
역 | 창러 |
거리 | 185 km |
비고 | 자오지선→ |
역 | 칭저우스 |
거리 | 216 km |
역 | 린쯔 |
거리 | 234.2 km |
비고 | ←보산 역, 장둥선 방면→ |
역 | 쯔보 |
거리 | 257.2 km |
비고 | 자오지선→ |
역 | 저우춘 동 |
거리 | 271.6 km |
역 | 장추 |
거리 | 314.2 km |
비고 | 자오지선→ |
역 | 다밍후 |
거리 | 358.2 km |
비고 | ←지난선차오난 방면 |
역 | 지난 |
거리 | 361.7 km |
비고 | 지난선당자좡 방면→ |
비고 | 징후 고속철도상하이 훙차오 방면→ |
역 | 지난 서 |
비고 | ↓징후 고속철도베이징 남 방면 |
2. 역사
2007년 1월 8일 자오지 여객전용선 건설이 정식으로 시작되었다.[9][5] 2008년 7월 20일 칭다오-린쯔 구간이 개통되었고,[9][5] 같은 해 12월 21일 린쯔-지난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.[9][5] 개통 초기에는 최고 속도 120km/h로 운행했다.[9][5]
2009년 3월 1일 최고 속도가 160km/h로 상향되었다. 황하의 강수기 종료 후, 최고 속도가 180km/h로 상향되었다.[9] 같은 해 9월 20일에는 다밍후역(구 지난동역)-쯔보역 구간, 린쯔역 구간, 가오미역 구간 최고 속도가 200km/h로 상향되었고, 쯔보역-린쯔역 구간, 가오미역-자오저우베이역 구간 최고 속도는 250km/h로 상향되었다.[6] 2010년경 최고 속도는 200km/h로 다시 하향 조정되었다.
2. 1. 건설 과정
2007년 1월 8일 자오지 여객전용선 건설이 정식으로 시작되었다.[9][5] 2008년 7월 20일 칭다오~린쯔 구간이 개통되었고,[9][5] 같은 해 12월 21일 린쯔~지난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.[9][5] 초기 표정속도는 시속 120km였다.[9][5]2009년 3월 1일 표정속도를 시속 160km로 올렸으며, 황하 강수기가 지난 뒤에는 시속 180km로 상향 조정되었다.[9] 같은 해 9월 20일에는 다밍후역(구 지난동역)-쯔보역 구간, 린쯔역 구간, 가오미역 구간 최고 속도가 200km/h로 상향되었고, 쯔보역-린쯔역 구간, 가오미역-자오저우베이역 구간 최고 속도는 250km/h로 상향되었다.[6] 2010년경 최고 속도는 200km/h로 다시 하향 조정되었다.
2. 2. 속도 향상 및 변화
2007년 1월 8일 자오지 여객전용선 건설이 정식으로 착공되었다.[9] 2008년 7월 20일 칭다오(칭다오역)~린쯔(린쯔역) 구간이 개통되었고,[9] 같은 해 12월 21일 린쯔~지난(지난역)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.[5][9] 초기 표정속도는 시속 120km였다.[5]2009년 3월 1일 표정속도를 시속 160km로 올렸으며, 황하 강수기가 지난 뒤에는 시속 180km로 표정속도를 다시 올렸다.[9] 같은 해 9월 20일에는 다밍후역(구 지난동역)~쯔보역 구간, 린쯔역 구간, 가오미역 구간 최고 속도가 200km/h로 상향되었고, 쯔보역~린쯔역 구간, 가오미역~자오저우베이역 구간 최고 속도는 250km/h로 상향되었다.[6] 이후 2010년경 최고 속도는 200km/h로 하향 조정되었다.
3. 역 목록
지난 궤도교통 M1호선(规划)
칭다오 지하철 14호선 (계획)
칭다오 지하철 1호선 (공사중)
칭다오 지하철 8호선 (공사중)
칭다오 지하철 1호선 (공사중)